반응형
반도체 전공정 관련주들의 주가 상승은 현재진행형 그 이후는?
- 안녕하세요 G입니다. 공교롭게도 장이 지난번 반도체 관련 포스팅 이후에 제가 중요성을 강조드린 전공정 관련주들이 많이 오르면서 알게 모르게 뿌듯해지고 있는 요즘인데요. 그럼에도 후공정 관련주들은 이번 반도체 사이클 흐름에 있어서 큰 부분을 차지할 것이므로 소홀히 해서는 안되고, 소부장이 어느정도 반영을 한 후에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같은 종합반도체 사들도 지켜봐야 한다고 말씀을 드렸었습니다.
주목해야 할 삼성 파운드리
- 개인적으로 요즘 여러가지 텔레그램에서 공개된 지표들로 인해 삼성파운드리를 관심있게 지켜보고 있는데요. 이전 GOS이슈 등 엑시노스의 기대이하의 성적과 수율악화등으로 삼성파운드리의 기대감은 한껏 내려와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TSMC가 Cowos 공정으로 수주 가능 잔고가 거의 최고를 달려가면서 터져나오는 수요가 결국 삼성파운드리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 삼성은 현재 기존의 파운드리에 엔지니어를 갈아넣어 수율을 향상시키기도 했지만 여러 대형 고객사와의 컨텍과 수주를 통해 좋은 흐름을 이어가고 있는데요. 이러한 흐름에서 수혜가 일어날 종목이 어떤 것이 있을까 보다가 에이디테크놀로지를 보게되었습니다.
에이디테크놀로지 기업 특징
- 에이디테크놀로지는 반도체 생산공정에서 디자인하우스를 담당하는 기업인데요. 쉽게 풀어서 말씀드리자면 팹리스에서 IP를 사와서 칩을 설계하면 디자인하우스에서 파운드리에서 효율적으로 칩을 생산할 수 있도록 제조관점에서 설계 지원 및 검증을 하는 기업을 뜻합니다. 삼성파운드리 밸류체인을 DSP라고 하고 TSMC밸류체인을 VCA라고 합니다. PEER 그룹으로는 가온칩스, 코아시아가 있습니다.
에이디테크놀로지 투자아이디어 : 수익성 효율화
300x250
- 디자인하우스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양산칩에서 NRE 일지 Turn Key 일지 하는 방향입니다. NRE는 단순설계로 마진이 작습니다. 반면 Turn Key는 PKG까지 하는데 이게 실질적으로 마진이 남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현재 에이디테크놀로지는 Turn Key 위주의 수주를 선별하여 받으며 이익률 향상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 또한 매출의 종류도 모바일, ssd controller 등의 저마진 중심의 제품군에서 ai / hpc / 자율주행 등의 고마진 중심의 제품군으로 체질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는 VCA의 업체인 GUC, AI CHIP, FARADAY와 성장 스토리가 비슷하다고 볼 수있습니다.
- 현재 수주상황으로는 계약 상대방은 알 수 없지만 3월 수주한 서버향 주문형 반도체 설계 개발은 AMD로 추정이 되는데, 엔비디아가 삼성파운드리쪽 수주를 희망하는 상황에서 에이디테크놀로지에 엔비디아향 물량이 들어올 것은 자명해보입니다.
에이디테크놀로지 투자아이디어 : 경쟁사 대비 강한 인력풀
- 이유는 가온칩스는 현재 인력구조를 많이 축소해서 비용을 효율화 했는데, 디자인하우스의 인력은 곧 CAPA와 기술력을 의미합니다. 인력을 갈아넣어야 더 높은 기술의 칩 설계 지원이 가능한데, 가온칩스는 인력을 줄인반면 에이디테크놀로지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꾸준히 인력을 늘려온 상황입니다. 가온칩스는 매출이 차량용 반도체 52% 정도로 차량용 반도체 설계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은 상황입니다. 이상황에서 추가적인 인력을 엔비디아 등 선단공정의 칩에 배정할 여력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에이디테크놀로지 투자아이디어 : 삼성의 지분투자
- 그리고 이런 방향으로 갈 경우 최상의 시나리오는 삼성이 효율화를 위해 에이디테크놀로지에 지분투자를 하여 협력체계를 공고히 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부분은 13일 IR 내용을 살펴보면 실현되기 힘들다고 판단되었습니다. 오랜 고객사인 ARM 상장도 원래 투자의 아이디어의 한 부분이였으나, 이미 지난 이슈가 되어 버렸으니 논외로 하겠습니다.
- 물론 삼성이 지분투자를 해주는 것이 가장 베스트 시나리오가 될 수 있으나, 현재 상황에서는 사측이 내놓는 가이던스 대로 매출 24년 2,000억 가량을 내주기만 해도 아주 좋은 방향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개인적으로 OPM은 천천히 증가할 것으로 보이는데, 아래 글에 있는 24년 E OPM 10%는 꽤 타당한 추론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에이디테크놀로지 분석 (컨콜 후기)
[들어가기에 앞서] 회사의 간략적인 사업소개, BM은 먼저글로 대체! https://blog.naver.com/dmsgh32/223...
blog.naver.com
디자인하우스는 사실 반도체 밸류체인에서 폭발적인 성장이 어려워 주가가 잘 움직이지 않는 섹터입니다. 지루할 수 있지만 변화가 시작되는 변곡점에서의 투자는 늘 좋은 방향을 이끌어왔고, 현재 반도체 업황 사이클이 상승추세이므로, 잘 추적한다면 좋은 선택지중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반응형
'investing note > korea stoc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2K VCHA 성공적 데뷔 JYP엔터테인먼트의 북미 대상 구조적 성장이 시작되었다 (0) | 2023.09.23 |
---|---|
휴메딕스 필러 수출입 통계와 톡신, 점안제 급여 축소 우려에 대한 생각 (0) | 2023.09.23 |
메가스터디교육 자사주소각 공시, 주주환원정책으로 사교육 카르텔의 오명을 벗을 수 있을 것인가 (0) | 2023.09.14 |
에치에프알 주주환원정책 IR 자사주 소각과 가이던스는 물건너갔지만 회사는 천천히 바뀌고 있다 주가가 상승하기 위한 조건은 무엇일까 (0) | 2023.09.14 |
JYP 2분기를 기점으로 끝난 주가 상승이 주식일까? 3분기 의외의 어닝서프라이즈가 나올수도 (0) | 2023.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