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시장이 캐리한 4월의 연금저축계좌 성과
안녕하세요 G입니다. 이제 4월 포트폴리오 보고서작성도 거의 끝이나가네요. 기존에 연금저축펀드와 IRP를 따로 올렸었는데, 전체적인 연금은 어차피 큰돈이 아니기도 해서 한번에 올려서 보고서를 작성하려고 합니다. 어차피 개인적 차원에서 기록한다는 의미가 강하기 때문에 편리하게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상대적으로 매우 양호한 미국 증시
미국 증시는 상대적으로 굉장히 양호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3,4월 내내 상승하며, 나스닥과 S&P500에 주력으로 투자했었던 제 연금 계좌도 상대적으로 괜찮은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미국 경제가 확 무너질지 안무너질지는 모르나 지금 연금펀드의 비중은 그런 상황에 고려하여 조정할 정도의 크기는 전혀 아니라고 생각하고 있고, 매달 납입하는 IRP, 연금저축펀드 각 10만원의 납입금만으로도 충분히 리밸런싱 효과를 낼 수 있는 상황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각 계좌에 분산되어 있는 안전자산 등의 자산들이 충분히 헷지 효과를 낼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정상적으로 작동이 되지 않는다면 포트폴리오의 변경을 고려해봐야겠지만 21년 설정이후의 지금까지의 상황에서는 KODEX TRF 3070와 KODEX 골드선물(H), KODEX 미국달러선물이 하락장에서 모두 든든한 헷지 역할을 해주었기에 계속 믿고 가보려고 합니다.
IRP 포트폴리오
IRP의 경우 나스닥과 맥쿼리인프라, KODEX TRF3070, 예금으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KODEX TRF 3070을 반도체 노출 ETF로 바꿀까도 진지하게 고민해봤습니다만 아직은 생각은 보류하는 방향으로 가보려고 합니다. 맥쿼리는 현재 분배일까지 예상 수익을 4%정도로 보시는 분이 계시던데, 개인적인 생각은 다릅니다. 아마 맥쿼리는 예정 기간에 해체하지 않고 연장을 할 가능성도 있고, 결과적으로 1년 내에는 요원해도 2-3년 내에 올 금리 인하 상황에서는 분명히 배당주로써의 메리트를 가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5월 달은 미국 추종 etf의 배당금이 들어오는 날입니다. 아직은 작은 돈이나, 매달 납입금에 맞춰 추가매수에 쓰려고 합니다.
순번 | 종목명 | 평균매수가 | 현재가 | 수량 | 평가수익 | 총 평가액 | 비중 |
1 | TIGER 나스닥 100 | ₩ 67,915 | ₩ 78,475 | 2 | ₩ 21,120 | ₩ 156,950 | |
2 | ACE미국 나스닥 100 | ₩ 12,269 | ₩ 13,470 | 108 | ₩ 129,708 | ₩ 1,454,760 | 40.14% |
3 | 맥쿼리인프라 | ₩ 12,457 | ₩ 12,450 | 96 | -₩ 672 | ₩ 1,195,200 | 29.76% |
4 | KODEX TRF 3070 | ₩ 11,370 | ₩ 11,355 | 90 | -₩ 1,350 | ₩ 1,021,950 | 30.09% |
5 | 산업은행정기예금 1년 | ₩ 186,485 | ₩ 186,485 | 1 | ₩ - | ₩ 186,485 | |
6 | 현금 | ₩ 254 | 0.01% | ||||
합계 | ₩ 148,806 | ₩ 4,015,599 |
연금저축펀드 포트폴리오
연금저축펀드는 사실 좀더 복잡한 구조인데, 개인적으로는 20%정도의 비중을 헷지에 쓰는 것이 썩 맘에 들지는 않으나, 하락장에서 잘 작동을 해주기도 하고, 현재 같은 기형적인 상황에서는 골드, 달러 선물 또한 양호한 흐름을 보이기에 그냥 놔두려고 합니다. 올해는 HANARO 글로벌럭셔리S&P가 매우 좋은 성과를 내주었습니다. 역시나 기존 아이디어대로 명품은 경기침체 상황에서도 오히려 가격을 올리며 좋은 실적을 내었고, 수요단도 전혀 줄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Tiger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나스닥의 경우 반도체의 흐름은 아직 좋아질 기미가 요원하고, 메모리에서의 삼성전자의 감산에도 DRAM 가격의 하락이나 고객사, 공급사 재고자산의 하락은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빅테크 기업들의 오더컷이 나오고 있으니, 당분간 실적은 좋지 않겠지만, 이미 시장은 다음 신호를 기다리는 것처럼 보입니다. 주가가 더이상 떨어지지 않으니 반도체 관련주는 꾸준히 모아가다보면 결국은 시간문제가 아닐까 생각이 됩니다. 이번에 ARIRANG 미국 S&P500(H)가 배당금을 지급하였는데 1년치로 주당 220원을 지급하였습니다. 환율 헷지 자산이라 전혀 기대가 없었는데, 크진 않은 돈이지만 한주라도 더 매입하는데 요긴하게 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종목명 | 평균매수가 | 현재가 | 수량 | 평가수익 | 총 평가액 | 비중 | 평가수익률 |
HANARO 글로벌럭셔리S&P | ₩ 17,021 | ₩ 19,720 | 54 | ₩ 145,746 | ₩ 1,064,880 | 15.35% | 15.86% |
Tiger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나스닥 | ₩ 9,787 | ₩ 10,670 | 95 | ₩ 83,885 | ₩ 1,013,650 | 14.61% | 9.02% |
ARIRANG 미국 S&P500(H) | ₩ 12,362 | ₩ 17,185 | 40 | ₩ 192,920 | ₩ 687,400 | ||
ACE미국S&P500 | ₩ 12,838 | ₩ 13,950 | 198 | ₩ 220,176 | ₩ 2,762,100 | ||
₩ 413,096 | ₩ 3,449,500 | 49.73% | 11.98% | ||||
KODEX 골드선물(H) | ₩ 12,063 | ₩ 13,120 | 52 | ₩ 54,964 | ₩ 682,240 | 9.84% | 8.76% |
KODEX 미국달러선물 | ₩ 10,691 | ₩ 12,120 | 58 | ₩ 82,882 | ₩ 702,960 | 10.14% | 13.37% |
현금 | ₩ 22,544 | 0.33% | |||||
₩ 780,573 | ₩ 6,935,774 |
한달새에 연금저축 포트폴리오가 겨우 1,000만원을 넘은 수준에서 바로 1,100만원까지도 바라보고 있습니다. 단기적인 조정은 있을 수 있으나, 조정이 오면 오는대로 싸게 매수할 수 있어서 좋고, 오르면 기분이 좋고 전혀 걱정할 필요는 없는 상황이라고 생각합니다. 어차피 지금 나이부터 30년이상을 납입해야 하니 현재의 성과에 연연하지 않고, 대신 포트폴리오가 잘 작동하는지만 살펴보며 종목을 세부조정해보려고 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open portfolio > 연금저축펀드, IRP'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로 직접 운용하는 연금저축펀드, IRP 6월 보고서 (계속 늘려가는 반도체 비중) (0) | 2023.06.30 |
---|---|
ETF로 직접 운용하는 연금저축펀드, IRP 5월 보고서 (미국 및 반도체 비중을 늘린 것이 좋은 결과) (0) | 2023.05.30 |
23년 3월 연금저축펀드 포트폴리오 첫 연금저축계좌 1천만원 초과 달성! 글로벌시장과 펀드운용의 방향성 (0) | 2023.04.03 |
3월 IRP 포트폴리오, 노후준비 ACE 미국 나스닥 100과 맥쿼리인프라가 책임져줄거지? (0) | 2023.04.01 |
23년 2월 IRP 직접 운용 포트폴리오 공개, IRP를 납입해야하는 이유, 세제혜택, 가입방법 (0) | 2023.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