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vesting note/korea stocks

휴메딕스 주가도 필러 맞고 예뻐지자 보톡스관련주, 필러 관련주

by G의 자산 성장기 2023. 8. 22.
반응형

휴메딕스 주가도 필러 맞고 예뻐지자

안녕하세요 G입니다. 요즘 미용, 의료기기 및 화장품 등 외형적인 꾸밈을 위한 미용관련주들이 날아오르고 있습니다. 시장이 주로 미용 의료기기와 화장품에 집중을 하고 있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현재의 흐름이 전 세계적인 트렌드에 의해 흐름이 나왔다는 것이 중요합니다.  현재 필러 쪽도 주목할만한 수치가 나오고 있습니다. 그중에서 유망하다고 생각하는 휴메딕스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투자아이디어

매출 핵심인 필러 수출국 다변화

  • 필러(리볼라인, 엘라비에)의 매출이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수출물량이 많이 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주로 중국 브라질 등의 수출물량이 22년부터 증대된 것으로 보여집니다. 
  • 특히 해외 필러 ASP 는 내수 대비 높은 수준이라는 점에서 해외 매출 비중의 확대는 영업 레버리지로도 이어집니다.  필러 매출은 상저하고의 계절성을 나타내는 만큼 매 분기 매출 및 영업이익률 상승도 기대 가능하다고 봅니다. 게다가 하반기부터는 동남아를 비롯해 중동 등 추가적인 신규필러 해외시장으로의 진출이 기대됩니다.

OPM의 핵심인 필러 매출의 증대

 2018 년부터 본격 가동된 필러 및 바이오 CMO 공장인 제천 제2 공장의 감가상각비는 2023 년 2 분기를 기점으로 차츰 감소할 전망입니다. 2023 년 1 분기 공시 기준 감가상각비는 25 억 원으로 2022 년 99 억 원과 유사한 수준이었으나, 2 분기부터 차츰 감소해 2023 년에는 연간 80~90 억 원 수준으로 하락, 2024 년 이후에도 꾸준히 감소할 전망입니다.

  •  따라서 전 사 매출 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필러 매출, 특히 해외 필러 매출의 고성장을 바탕 으로 영업 레버리지 효과가 본격화되는 가운데 관련 감가상각비 또한 2 분기를 기점으로 구조적 감소세로 전환될 것으로 기대되는 만큼 매출뿐만 아니라 수익성 개선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리스크

휴메딕스가 유통중인 보톨리늄 균주 소송이슈

 

[보툴리눔 균주 논란]휴온스그룹, 유전자 서열 분석 결과 앞세운 '정공법'

국내 최고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이 정보서비스의 새 지평을 엽니다.

www.thebell.co.kr

 

::: 휴온스바이오파마 :::

 

huonsbiopharma.com

일단 2월부터 휴온스바이오파마 측은 균주 논란에서 자유롭다고 발표를 했었는데요. 6월 2일 기준으로 휴온스바이오의 리즈톡스 대상으로 품목 허가 취소, 회수 및 폐기, 6개월 제조정지 등의 처분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앞으로 100 단위에 대해 품목허가 취소와 6개월 생산정지 조치가 나오더라도 가처분정지 소송을 통해 해결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그리고 현재 고속 성장을 하고 있는 부분은 50, 200단위 매출 톡신은 현재 휴온스의 매출액 대비 15%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습니다. 휴온스 대상의 본격적인 소송은 아무래도 메디톡스의 경우 대웅제약과의 국내소송과 휴젤 미국 ITC 소송 종결 이후 이루어질 것으로 보여 23년 기준으로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대신증권 휴메딕스 리포트

2. 전환사채 오버행 이슈

  •  현재 8월 25일에 전환사채 전환이 예정되어 있는데 현재 물량과 주가상 앞으로 2번 정도는 더 전환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주가는 전환가액보다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지만 이번 4회 차는 2번에 걸쳐 24억 정도의 물량이 희석되더라도 아직 39억 2천만 원에 해당하는 전환사채가 남아 있기 때문에 전환사채로 인한 하방 압력은 조심해야 할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원래 전체 전환사채 발행량이 450억 가량이었던 것을 생각하면 물량이 많이 줄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다트 전자공시

밸류에이션

회사 가이던스 매출 YoY 20-30% 증가, OPM 20% 중후반. 매출 1,480-1,600억. 영익 380-465억. 순익 300-370억.

순익 350억 예상. PER 13.79 적용.(필러와 전문의약품의 매출 비율 PER를 계산)

적정 시총 4,827억. 적정 주가 45,617원.

peer 대비

바이오플러스 증권사 컨센 순익 283억. 시총 4808억. PER 약 17.5. [전환우선주 포함]

파마리서치 증권사 컨센 순익 726억. 시총 1조 4292억. PER 약 20.5.[전환사채 포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