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vesting note/real estate

설레는 아파트 분양! 중도금 대출 받을 때 필요한 서류와 발급처는? 하나하나 꼼꼼히 챙겨보자(혹시나 서류를 빼먹었을 때 꿀팁 추가)

by G의 자산 성장기 2023. 8. 6.
반응형

설레는 아파트 분양! 중도금 대출받을 때 필요한 서류는? 하나하나 꼼꼼히 챙겨보자

안녕하세요 G입니다. 지금은 비록 슬픈이야기이지만 저는 22년 말에 파주 운정에 아파트 분양신청에 성공했었습니다. 지금 보면 정말 썩 맘에 들지 않는 입지이지만 그때 당시는 무려 266대 1의 경쟁률을 뚫었고, 심지어 기타 지역으로 넣어서 당첨이 되어서 기분이 이루 말할 수 없었죠. 하지만 당첨의 기쁨도 잠시. 한참 분양이 활황일 때 되다 보니 중도금이 이자가 붙어서 정말 장난이 아니더라구요... 그래서 마음먹었습니다. 피눈물을 흘리더라도 주식을 팔아서 최대한 중도금 실행 날짜를 미뤄보자구 말이죠.

다행히 부모님이 원래 증여로 생각하고 계셨던 금액과, 이전에 살던 전세보증금을 보관하고 있던 금액, 그동안 피같이 모으고 있던 주식 판매 자금등을 통해서 3회차까지 어영부영 중도금을 현금으로 납입할 수 있었습니다. 그사이 처음에 4.24%에도 굉장히 높다고 생각했던 중도금은 현재 6.16%까지 올라있었습니다;;; 아니 아무리 그래도 지금 신용대출받아도 이거랑 비슷할 거 같은데 정말 건설사 중도금은 양아치에 가깝습니다. 그래도 남은 3회 차는 어쩔 수 없이 중도금 대출을 실행해야 하기에 눈물을 머금고 중도금 대출을 실행하기로 마음먹었습니다.

이번에는 그 중도금 대출을 실행하는 과정과 필요한 서류들을 같이 점검해보려고 합니다. 물론 건설회사나 거래할 금융처에 따라서 필요한 서류는 달라질 수 있겠지만 대부분 대동소이하다고 생각합니다. 

먼저 기본적으로 대출에 필요한 서류는 비슷한데, 중도금 대출에 필요한 서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제가 근로소득자라 근로소득자 기준으로 작성하였으니, 사업소득자이시거나 연금 및 기타소득자이신 경우에는 한번 더 알아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중도금 대출에 필요한 서류


1. 분양(공급)계약서 원본

2. 분양자의 주민등록등본

3. 분양자와 배우자 건강보험자격득실 확인서

4. 신분증

5. 세대원 전원 주민등록초본

6. 가족관계증명서

7. 재직증명서

8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최근 2개년)


이 정도로 보시면 될 거 같습니다. 저는 디딤돌 전세자금 대출을 시행하면서 이미 과정을 거쳐서 1개월 이내 발급서류를 제출해야 하기에 일단 새로 준비하긴 했지만 오래 걸리진 않았습니다.

300x250

서류 발급할 수 있는 곳

먼저, 2,5의 경우는 정부 24에서 발급이 가능하구요. 1은 계약 당시 보관 중인 게 있으실 거고 4도 마찬가지로 가지고 계실 거고요. 가족관계증명서는 법원 증명서 발급에서 발급이 가능합니다. 사실 혼자 사시면 저런 거 발급 안 해도 돼서 너무 편하고 좋은데요. 뭐 이미 같이 사는 분들이 있으면 어쩔 수 없죠. 그리고 건강보험 자격득실 확인서는 건강보험 홈페이지에서 가능하고요. 7,8은 직장에 따라서 다르나, 대부분 직장 내 행정업무를 처리해 주는 곳에서 발급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혹시나 서류를 깜빡하고 놓고 왔을 때 꿀팁!

가끔 서류를 준비해놓고 챙겨 오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은행에서는 원본이 아니면 절~대 불가능하다고 돌려보내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놀랍게도 못 챙겨간 사람이 바로 저라서 제가 직접 하소연을 해보았는데요. 결과는 일단 사진을 찍어서 중요한 숫자만 입력하고, 원본은 우편을 통해서 보내도 되는 것으로 결론 냈습니다. 하지만 웃긴 게 은행도 서류를 복사해서 보관하던데, 그냥 팩스로 받아도 될 것을 꼭 원본을 가져와야 한다고 하는 것도 웃기긴 합니다! 결론은 미리 찍어놓은 사진만 있다면 그 자리에서 중도금 대출 자서가 가능하고 추후 우편으로 송부하면 되겠습니다!

이렇게 중도금 대출 실행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이자가 비싸서 사실 딱히 하고 싶진 않았으나, 어쩌겠어요 이렇다 보면서 자산이 늘어나는 거겠죠? 빨리 등기 치고 전세를 놓고 싶네요. 이상으로 중도금 대출 필요서류와 대출 방법에 대해서 소개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