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년 1월 연금저축펀드 portpolio
안녕하세요 G입니다. 지난번에 연금저축펀드의 필요성과 투자전략에 대해서 말씀을 드렸는데요. 아직 시작한지 얼마되지 않아서 금액은 크지 않으나 매달 목표 비중에 맞춰서 연금저축펀드에 ETF를 적립식 매수를 하며 리밸런싱을 하고 있습니다. 나름의 원칙을 세워서 ETF를 정하고 또, 비중을 정해서 매수를 진행하고 있는데, 간단하게 연금저축펀드의 구성 ETF를 정한 이유와 원칙에 대해서 간단하게 소개드리려고 합니다.
연금저축펀드 구성 ETF와 그 이유
제 연금저축펀드는 크게 세가지로 분류해서 구성을 했습니다. 먼저 제가 액티브하게 운용할 수 있는 자금을 30%, S&P500 추종 ETF에 50%, 마지막으로 안전자산에 20%를 배분했습니다. 개인적으로 이른나이에 한다면 안전자산은 필요없을 거라고 생각했으나 이번 10월 사이클에서 달러선물의 상승으로 어느정도 헷지가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위의 구성 비율은 운영하시는 본인의 나이나, 성향에 따라서 배분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세부적인 ETF에 대한 분석은 따로 올리도록 하고 간략한 소개만 드리겠습니다.
먼저, HANARO 글로벌럭셔리S&P ETF 입니다. 이 ETF는 전세계 명품회사의 주가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종목을 구성하는 주요 회사로는 LVMH, 에르메스, 나이키, 테슬라 등이 있습니다. 구성 목록을 보면 저게 왜 명품이지 하고 의아한 회사도 있습니다. 저도 사실 연금저축에 안사면 따로 LVMH를 살 것 같긴 한데, 연금저축이기에 이런 상품이 있는 것만으로 만족하고 있습니다. 주의하실 점은 거래량이 적기 때문에 모으실때도 파실 때도 천천히 자금을 움직이셔야 한다는 점입니다.
다음으로 Tiger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나스닥 ETF 입니다. 현재 반도체 경기가 다운사이클에 진입한지도 벌써 1년 반이 지나가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느끼기에 반도체 사이클은 일단 최악의 심리는 나오지 않았나 생각이 듭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사이클이 적고, 안정적인 이익궤도에 올라선 비메모리쪽 비중이 크고, 메모리쪽 익스포져도 어느정도 가져가고 있는 필라델피아 반도체 나스닥을 모아간다면 향후 2,3년 내에 긍정적인 수익을 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연금저축펀드에 담기에는 이만한 것이 없고, 해외투자 계좌는 SOXX, SOXQ 정도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SOXL의 경우 반도체 업황이 급격히 턴어라운드해서 랠리할 것으로 예상되지 않으므로 오히려 레버리지 비용이 더 크게 작용할 수 있는 구간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제 S&P500 입니다. H는 헷지 자산을 의미하는데 환율에 대해서 영향을 받지않도록 설정해놓은 ETF입니다. 초창기에 모은 H수량을 제외하고는 모두 환노출형 ACE S&P 500 ETF로 구성하였습니다. H의 경우 환 헷지를 위한 비용이 너무 많이 들어가고, 배당도 나오지 않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모아가기에는 환율에 상관없이 환노출형이 괜찮다는 생각입니다. 현재 300만원 가까이 모았는데, 언젠간 3억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마지막으로 안전자산용으로 매수한 ETF 입니다. 개인적인 성향으로는 현물을 하고 싶으나, 헷지용 자산으로는 선물을 구매하는 것이 나을 것 같아 선물을 매수했습니다. 개별적인 ETF를 설명드리기 보다는 통상적인 사례로 말씀드리면, 모든 위기 상황이 비슷하지는 않겠지만, 대부분의 국가에서 안전자산으로 생각하는 항목은 바로 금과 달러입니다.
다양한 상황으로 위기는 오지만 통상적인 사례에서 침체나 위기로 전환되는 과정에서는 안전자산 선호현상이 나타나는데, 먼저 신흥국에서 선진국, 특히 미국으로 돈이 흘러들어갑니다. 그렇게 되면서 달러의 환율이 올라가게 되죠. 그런데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미국도 결국 거대한 경제 그룹이기에 세계와 떨어져서 혼자만 잘 나가는 현상이 오래 지속될 수가 없습니다. 미국 경제에 어떤 위기감이 포착되게 되면 달러에 대한 선호도가 떨어지고 금에 대한 선호도가 올라가게되죠. 그래서 KODEX 골드선물(H) ETF과 KODEX 미국달러선물 ETF로 구성하였고, 개인적으로 달러는 이번에 포트내에서 헷지자산으로 잘 작동하였으나, 골드 선물이 헷지자산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포트의 규모가 훨씬 커야하지 않나하는 생각이 듭니다. 대략 2,3천만원 이하에서는 골드 선물은 없어도 되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포트폴리오 운영
매달 저는 연금저축에 10만원씩 납입을 하고 있습니다. 최대 세액공제를 받으려면 작년기준 33만4천원, 올해 기준 50만원을 매수해도 괜찮으나, 현재 제 나이는 좀 더 공격적으로 자산을 운용해도 된다고 생각하기에 10만원씩만 넣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작성해놓은 엑셀에 현재 평가액 대비 목표비중과 현재비중의 차가 나오고, 현재가격으로 나누어 몇 주를 사고 몇 주를 팔아야하는지 뜹니다. 이 항목에 따라서 매달 1번씩 기계적으로 리밸런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보유하고 있는 포트폴리오는 아래와 같습니다.
종목명 | 평균매수가 | 현재가 | 수량 | 평가수익 | 총 평가액 | 비중 | 평가수익률 | 목표비중 |
HANARO 글로벌럭셔리S&P | ₩ 16,984 | ₩ 18,240 | 52 | ₩ 65,312 | ₩ 948,480 | 14.96% | 7.40% | 15% |
Tiger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나스닥 | ₩ 9,755 | ₩ 10,305 | 97 | ₩ 53,350 | ₩ 999,585 | 15.77% | 5.64% | 15% |
ARIRANG 미국 S&P500(H) | ₩ 12,096 | ₩ 17,085 | 38 | ₩ 189,582 | ₩ 649,230 | |||
ACE미국S&P500 | ₩ 12,823 | ₩ 13,050 | 188 | ₩ 42,676 | ₩ 2,453,400 | |||
S&P 합계 | ₩ 232,258 | ₩ 3,102,630 | 48.95% | 7.49% | 50% | |||
KODEX 골드선물(H) | ₩ 11,962 | ₩ 12,210 | 47 | ₩ 11,656 | ₩ 573,870 | 9.05% | 2.07% | 10% |
KODEX 미국달러선물 | ₩ 10,559 | ₩ 11,365 | 52 | ₩ 41,912 | ₩ 590,980 | 9.32% | 7.63% | 10% |
현금 | ₩ 23,234 | 1.94% | ||||||
₩ 404,488 | ₩ 6,238,779 |
꾸준히 포트폴리오를 공개하면서 연금자산의 운용전략이 효과가 있는지 포스팅을 할 예정입니다. 자신만의 전략을 세워서 보다 효과적인 연금자산을 운용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open portfolio > 연금저축펀드, IR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금저축펀드, IRP 4월 포트폴리오 보고서 (ETF를 활용한 효율적인 연금투자 방법 찾기) (0) | 2023.05.07 |
---|---|
23년 3월 연금저축펀드 포트폴리오 첫 연금저축계좌 1천만원 초과 달성! 글로벌시장과 펀드운용의 방향성 (0) | 2023.04.03 |
3월 IRP 포트폴리오, 노후준비 ACE 미국 나스닥 100과 맥쿼리인프라가 책임져줄거지? (0) | 2023.04.01 |
23년 2월 IRP 직접 운용 포트폴리오 공개, IRP를 납입해야하는 이유, 세제혜택, 가입방법 (0) | 2023.03.02 |
연금저축펀드, ETF로 직접투자해서 수익률 극대화하고 세액공제도 받자! 연금저축펀드의 필요성과 장단점, ETF의 특징 (0) | 2023.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