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pen portfolio/연금저축펀드, IRP

23년 2월 IRP 직접 운용 포트폴리오 공개, IRP를 납입해야하는 이유, 세제혜택, 가입방법

by G의 자산 성장기 2023. 3. 2.
반응형

IRP 포트폴리오 직접 운용의 이유

안녕하세요 G입니다. 비록 큰 금액은 아니지만 IRP 포트폴리오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세액공제의 용도로 넣어놨는데 역시나 그냥 남한테 맡기는 것은 제 스타일이 아니기에 직접 운용을 결심하게 되었는데요. 비록 제가 운용하는 방식이 좋은 결과를 낼지 못낼지는 알 수 없으나 성과를 공유하여 지금 직접 IRP를 운용하시는 분들에게 참고자료가 되고자 올려봅니다.

IRP 퇴직연금을 납입해야 하는 이유

IRP는 퇴직, 이직시에 발생하는 퇴직금과 추가 납입을 운용하여 55세 이후에 연금을 받아볼 수 있는 통장입니다. 납입한도는 연간 1,800만원으로 이자소득세 등이 종합과세에 해당하는 분들은 IRP를 풀로 납입하여 과세를 이연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물론 저는 한달 10만원 밖에 못넣습니다 흑흑

IRP 계좌는 각 증권사나 은행사에서 가입이 가능하며, 소득이 있어야 가입이 가능합니다. 직접 비대면 계좌를 개설하시는 것이 가장 편리한 방법입니다. 증빙서류로 근로계약서, 재직증명서, 퇴직소득원징수영수증, 건강보험자격득실 중 1가지를 제출해야하는데 지점에서 조회가 가능한 직장에 다니신다면 알아서 됩니다.

50세 미만이라면 연금저축펀드와 합산하여 최대 700만원까지 세액공제가 가능하구요, 50세 이상이시면 900만원까지 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 세액공제는 총 급여 5,500만원 초과에 대해서 13.2%(최대 92.4만원) 공제가 가능하고, 총 급여 5,500만원 이하에 대해서는 16.5%(최대 총 115.5만원 환급) 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

가장 중요한 점은 IRP는 인출이 불가능하고 인출하려면 해지를 해야합니다. 그렇게 될 경우 그동안 받은 세액공제, 이자, 배당소득세 등 이연된 세제혜택을 모두 일시에 지급해야하고, 모두 소득으로 인식되어 소득세 과세도 높아질 수 있습니다. 그러니 꼭 욕심내지 마시고 소득에 맞는 최소 금액을 납입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저처럼 10만원씩 납입하시다가 나중에 조금씩 올리시는것도 나쁘지 않아보입니다. (2,30대 기준)

300x250

개인적인 IRP 운용 전략, 2월 포트폴리오

맥쿼리 인프라를 모으고는 싶지만 일반 계좌에 맥쿼리를 사는 것은 효율이 떨어진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마침 IRP를 통해서 맥쿼리인프라를 편입할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들어서 IRP는 맥쿼리 포트를 운영하려고 결심했습니다. 맥쿼리 인프라에서 나오는 탁월한 현금흐름이 안정적인 IRP 운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럼에도 아직 젊은 나이라 IRP를 운용할 날들이 많기에 공격적으로 운영을 하고 싶었고, ACE 나스닥 100을 펀드에 편입하게 되었습니다. Tiger 나스닥 100의 경우 시총이 크나 주당 가격이 높아 10만원을 납부하는 계좌에 적절하지 않다고 여겨 중간에 교체했습니다. 매도 사인이 뜰 경우 이 ETF를 팔고 있습니다. 나스닥과 맥쿼리인프라의 비중을 크게 하고 KODEX TRF 3070의 경우 안전자산의 의무비중 30%로 넣어놨습니다. 그런데 솔직히 운용하다보니 항상 -라 차라리 예금을 넣는게 낫지않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안전자산 중에 가장 공격적인게 TRF 3070이라 투자를 했는데, 30은 채권 70은 MSCI에 투자하는 상품으로 알고 있습니다. 내비두면 알아서 되겠지 라는 생각으로 모으고 있습니다.

이번 달은 ACE 미국 나스닥 100의 배당금과 맥쿼리인프라의 배당금이 입금되었습니다. 아직은 미약하지만 매년 120만원씩 납부하다보면 배당금도, 수익도 커질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습니다.

순번 종목명 평균매수가 현재가 수량 평가수익 총 평가액 비중 평가수익률 목표비중
1 TIGER 나스닥 100 ₩ 67,915 ₩ 71,485 2 ₩ 7,140 ₩ 142,970   5.26%  
2 ACE미국 나스닥 100 ₩ 12,232 ₩ 12,270 99 ₩ 3,762 ₩ 1,214,730 37.24% 0.31% 40%
3 맥쿼리인프라 ₩ 12,460 ₩ 12,470 92 ₩ 920 ₩ 1,147,240 31.47% 0.08% 30%
4 KODEX TRF 3070 ₩ 11,370 ₩ 11,005 90 -₩ 32,850 ₩ 990,450 27.17% -3.21% 30%
5 현금         ₩ 149,957 4.11%   0%
합계         -₩ 21,028 ₩ 3,645,347      

-본 글은 매수 매도 추천글이 아닙니다.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

반응형